자료실 278

신비한 숫자

☘ 신비로운 글(숫자) 재미있는 숫자의 신비?를소개합니다. 1. 어떻게 이루워지는지? 재밋네요. 1 x 8 + 1= 9 12 x 8 + 2= 98 123 x 8 + 3= 987 1234 x 8 + 4= 9876 12345 x 8 + 5= 98765 123456 x 8 + 6= 987654 1234567 x 8 + 7= 9876543 12345678 x 8 + 8= 98765432 123456789 x 8 + 9= 987654321 1 x 9 + 2 = 11 12 x 9 + 3 = 111 123 x 9 + 4 = 1111 1234 x 9 + 5 = 11111 12345 x 9 + 6 = 111111 123456 x 9 + 7 = 1111111 1234567 x 9 + 8 = 11111111 12345678..

자료실 2021.04.29

순 우리말

순 우리말이니라 미르 : 용 의 순수 우리말 푸르미르 : 청룡의 순수 우리말 미리내 : 은하수 의 우리말 커리쉴하프 : 마을수장의 전쟁도구장비들 온새미로 : 자연 그대로, 언제나 변함없이 시나브로 :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 가람 : 강의 우리말 해류뭄해리 : 가뭄후에 오는 시원한빗줄기. 그린비 : 그리운 남자라는뜻의 우리말 그린내 : 연인의 우리말 아라 : 바다의 우리말 마루 : 하늘의 우리말 가온길 : 정직하고 바른 가운데(가온대: 옛말) 길로 살아가라고 지은 이름. 어라연히프제 : 치마를입고 화살쏘는여성들 가온누리 : 무슨 일이든 세상(누리: 옛말)의 중심(가온대: 옛말)이 되어라. 가시버시 : 아내와 남편의 우리말 그린나래 : 그린 듯이 아름다운 날개 예그리나 : 사랑하는 우리사이 비나리 :..

자료실 2021.03.07

망하지 않을수 없었던 조선

황제 황후의 위대한(?) 대한제국을 왜곡 조작 날조 비방 폄하한 기록? 그래도 이 시대를 같이 하는 여남소노 사람들아! 도대체 누가 누가, 되돌아 보기도 상상하기도 싫은 꼴의 나라를 깨워 일으켜 싸우게하고 다시 만들어 이만큼이라도 살게 했을까? 제발 제발 우리 알고 기억이라도 하며 살자!? 조선은 망할 수 밖에 없었고 또 마땅히 망했어야 할 나라임을 보여주는 문서가 소개되었네요 너무 부정적인 면만을 조명한 것으로 보이지만 숨길 수 없는 조선의 실상임을 부인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게 조선의 실상이었다.?⛑ - "일본간첩(日本間諜)의 조선정탐록(朝鮮偵探錄)" '조선(朝鮮)잡기'의 사료적(史料的) 가치(價値) - 일본인(日本人) 들에게 '조선(朝鮮)의 이미지'를 심어준 책(冊). 1893년(年)일본(日..

자료실 2021.03.07

종교를 통해보는 내세관

?️종교(宗敎)?️ 종(宗):마루종 (꼭대기) 교(敎);가르칠 교 (천천히 끝까지 읽어보세요) 종교(宗敎)를 통한 사생관(死生觀)과 내세관(來世觀) 우리 인간에게 삶과 죽음의 문제만큼 중요한 것은 없을 것이다. 우리가 죽은 후에는 어찌 되는 것일까? 내세(來世)니 저승이니 하는 사후관계란 과연 있는 것일까? 있다면 그 곳은 어떠하며 우리는 장차 어떠한 모습으로 그 곳으로 가는 것일까? 더욱이 인생의 황혼기에 접어든 사람이라면 누구나 죽음을 생각해 보지 않은 이가 없을 것이고, 자기가 어떤 종교를 가졌던지 혹은 종교를 가지지 않았더라도 각각 자기 나름의 사생관(死生觀)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인간에게 죽음이 없었더라면 종교는 생겨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고 한다. 인간의 죽음을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는 허다한 ..

자료실 2021.03.01

쌀과 보리

?쌀(米)과 보리(麥)의 궁합 ?신기하고 재미있는 남녀(男女) 이야기 ?쌀은 여성의 성질을 지니고 있고, ?보리는 남성의 성질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벼에는 수염이 없으나 ?보리에는 수염이 있다. ?그리고 쌀밥은 부드럽고 감미로워서 먹기가 좋으나, ?보리밥은 거칠고 쌀밥처럼 달콤하지 않다. ◾조물주의 섭리는 참으로 오묘해서 "물과 불"은 서로 상극이면서도 둘이 만나지 않고는 아무것도 이룰수 없게 섭리해 놓았다. ?여성과 밭은 화성(火性)이며 ?남성과 논은 수성(水性)인데, ?남성인 보리는 화성(여성)인 밭 에서 생육하고, ?여성인 벼(쌀)는 수성(남성)인 논에서 생육한다. ◾이는 곧 남녀간에 서로 다른 이성이 없이는 정상적인 삶을 영위 할수 없음을 보여준다. ◾또한 흥미로운 것은 ?여성인 벼(쌀)는 ..

자료실 2021.02.27

삶의 길에서

❣❣메디컬리제이션 (medicalization) 이란 말을 들어 보셨나요? ❣❣❣ ?요즘 社會學 용어로 떠오른 '메디컬리제이션'에 대하여 심심풀이 삼아 다시한번 들어 보세요? ?筆者와 가까운 한 친구가 있다. 그는 올해 75세로 老年期에 들어와 있다. 30년 넘게 직장 생활을 했고, 60세 은퇴 후 몇년간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었고, 건강에도 자신이 있어 어지간한 몸의 불편은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동창뿐 아니라 직장생활 등으로 맺어진 인맥도 살아 있었고, 이런저런 모임도 심심찮게 있어서 나름대로 활기있는 老後생활을 즐겼다. ?그러다 70대로 들어서자 건강에 문제가 조금씩 나타나면서 그의 生活도 달라져갔다. ?쾌활과 낙천은 슬금슬금 어디로 도망가고, 부정과 불안이 반쯤 망가진 팔랑개비처럼 마음 속을 맴..

자료실 2021.02.13

중국과의 치욕의 역사

◯ 중국은 우리에게 어떠한 나라인가? (신복룡, 건국대 정치학과 명예교수의 글에서 발췌) • ‘김치’가 연변 조선족의 전통음식이라고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김치를 ISO에 등록했으므로 중국김치(파오차이)가 국제 표준이 되었다고 떠드는 나라. ‘한복’은 물론 '아리랑' 노래까지 자기(연변)네 거라고 우기는 나라. ‘고구려’가 역사적으로 자기네 나라였다고 동북공정을 하는 나라. 2017년 시진핑이 트럼프에게 조선은 중국 종속국(從屬國)이었다고 과거사를 끄집어낸 그 속뜻은 무엇일까. • 우리나라의 사대주의(事大主義) 사상은 거슬러 올라가면, 여진족의 하급 무사로서 명나라로부터 정통성을 부여받아야만 고려 백성을 다스릴 수 있다고 했던 이성계(李成桂)가 “큰 나라를 거역할 수 없다(以小逆大不可)”고 한 개국명분에..

자료실 2021.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