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78

술 그 영원한 찬미

[술, 그 영원한 로망(roman)] "꽃 사이에 술 한병 놓고 벗도 없이 홀로 마신다 잔을 들어 밝은 달 맞이하니 그림자 비쳐 셋이 되었네" 중국 당나라 시선(詩仙) 이백의 시 의 한 구절입니다. 고려시대 문인 이규보는 시 에서 "하늘이 나로 하여금 술을 마시지 않게 하려면 꽃과 버들이 피지 말도록 하여라" 라며 ‘신이 주신 선물' 인 술을 예찬하고 있습니다. 술이란, 알코올 성분이 1% 이상 들어있는 모든 기호 음료를 총칭합니다. 기원전 4500년경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발상지인 티그리스 강 유역의 고대 수메르인들이 포도주를 처음으로 만든 이래, 술은 우리 인간들에게는 최고의 음식 중의 하나로 여겨져 왔습니다. 유럽의 목축문화는 포도주, 맥주, 벌꿀주, 위스키, 브랜디 같은 누룩을 사용하지 않은 술을 ..

자료실 2022.09.26

겸손하라!

■망각하면 안 될 세 문장■ 성서에도 사람은 겸손하기가 참 어려운 동물이라고 여러 곳에 기록했다. 한여름의 잡초처럼 매일 같이 발로 꾹꾹 밟아주지 않으면 순식간에 웃자라 버리는, 그것이 잡초의 성질이고 사람의 교만이다.평생을 머리 조아리다 말도 제대로 못 하던 사람이 돈 좀 벌었다고 거덜대고, 작은 감투 하나에 큰 벼슬이라도 한 양 목에 빳빳하게 풀을 먹이고 우쭐되는 걸 보면 교만만큼 인간의 본성이 뚜렷한 것도 없어 보인다. 교만이 ‘일만 악의 뿌리’이고 ‘패망의 앞잡이’란 가르침이 끊이질 않지만 인류의 역사는 달라지지 않았다. 인류의 흥망성쇠가 교만의 악순환에서 비롯됨이니 사람이 언제라야 창조주의 뜻에 맞추어 겸손해질까? 사람의 겸손과 교만은 말하는 것에서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자기 말만 앞세우고 ..

자료실 2022.09.02

하늘을 날기까지

교통기관의 혁신 과학기술 발전의 발자취 증기기관이 발명되고 이를 이용하여 증기기관차와 증기선이 만들어지지 전까지는 소나 말이 끄는 수레와 마차, 그리고 배가 사람이 만든 교통기관의 주가 되어왔다. 그러나 증기기관을 교통기관의 동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획기적인 교통 혁신이 일어났다. 어떤 면에서는 교통기관의 혁신이 증기기관이 가져온 가장 큰 혁신 중의 한 가지로 볼 수 있다. 기원전 4000~3500년 전에 바빌로니아와 중국에서 수레바퀴가 발명되었는데, 이를 이용한 수레나 마차가 사람이 만든 첫 번째 교통기관이다. 비슷한 시기에 배가 발명되어 수상교통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배는 초기에는 노를 사용하는 것이었으나, 돛을 단 배도 발명되었다. 여러 개의 돛을 단 배는 대형화되어, 한 번에 많은 사람과 물건을 운반..

자료실 2022.09.01

님의 시인

[ 한용운의 시와 민족 사랑 ] ◇ ' 님 '의 시인, /한 용 운 우리 근대 시사의 강물 위에 가장 세찬 민족혼의 물결을 일으켰던 대표적인 시인은 만해 한용운이 아닐까. 김소월은 고향 근처 시골에 칩거했지만, 만해는 “중앙의 문단에서 올연히 서 있는 초대형의 시기(詩器)”(김병익, 『한국문단사』, 1973)였다니 말이다. 두루 아는 바처럼 만해는 선각의 승려였고, 불굴의 독립운동가였으며, 그리고 뛰어난 시인이었다. 이러한 만해의 세 가지 사회적 자아는 어떤 것도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는 삼위일체로서 이상적 인간 존재를 구성한다. ‘님’의 시인 만해라는 큰 빛을 따라 조어(釣魚)에 나서는 아침은, 마음이 간절하면서도 설레고 설레면서도 경건하다. 우리가 만해 시를 이야기할 때, 늘 먼저 나오는 질문은 ‘..

자료실 2022.08.27

자유의 여신상

■ 자애(慈愛)로운 얼굴 미국 뉴욕항으로 들어오는 허드슨강 입구의 리버티섬(Liberty lsland)에 세워진 미국을 상징하는 "자유의 여신상"의 정식 명칭은 '세계를 비추는 자유 (Liberty Enlightening the World)' 입니다. 우리는 흔히 '자유의 여신상'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동(銅)으로 만든 여신상의 무게는 총 225ton이며 횃불까지의 높이는 46m입니다. 받침대 높이가 47.5m이므로 지면(地面)에서 횃불까지의 높이는 93.5m에 이릅니다. 집게 손가락 하나가 2.44m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이며, 1984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바 있습니다. 발 밑에는 노예해방을 뜻하는 부서진 족쇄가 놓여 있고, 치켜든 오른손에는 '세계를 비추는 자유의 빛'을 상징하는 횃불이, ..

자료실 2022.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