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6

대한민국

◎ 대한민국은 어디서 왔으며,어디에 있으며, 어디로 가는가!!! 1. 잃어버린 대한민국 조선 말 흥선대원군의 “우리 민족끼리 살겠다.” 는 시대착오적 인 쇄국정책으로 조선 은 근대화 과정에서 낙오되었다. 그 결과 1910년 한일병합이 되어 36년 동안 일본에게 나라를 잃었다. 지구상에서 사라질 뻔했던 대한민 국이 3.1독립운동을 통해 나라의 주권을 회복하려고 7.500여명 이 생명을 던졌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3.1운동은 비폭력 무저항, 외교를 통한 독립운동이 핵심 주체다. 누가 3.1운동을 일으켰나 이승만(초대 대통령) 이 일으켰다. 미국에 있던 이승만이 미국 선교사를 통해 국내로 밀서를 보내 김성수, 송진우, 임영신을 움직였다. 세 사람이 천도교와 국내 기독교 세력을 움직여 거족적 인 3.1독립운..

자우상망

*장무상망(長毋相忘) "오랜 세월이 지나도 서로 잊지 말자." 라는 뜻. 이 말은 秋史추사 金正喜김정희의 마지막 세한도(歲寒圖) 인장으로 찍힌 말입니다. "장무상망"은 추사가 먼저 쓴 것이 아니라 2천년 전 한나라에서 출토된 와당(瓦當) 기와에서 발견된 글씨입니다. "생자필멸(生者必滅)" 이라는 말처럼 살아있는 것은 모두 쓰러지고 결국에는 사라집니다. 그러나 추사와 그의 제자(弟子) 이상적과 나눈 그 애절한 마음은 이렇게 오늘도 살아서 우리를 감동시키고 있습니다. 가장 어려울 때 (제주도유배중) 추사를 생각해 준 사랑하는 弟子에게 추사는 세한도를 주면서 요즘 말로 가볍게 영원불멸(永遠不滅)이라 하지않고 조용히 마음을 안으로 다스려 "장무상망"이라 표현했습니다. 그래서 그 애절함이 우리의 마음을 흔드는 것..

8.3조치

●"꼭 읽어 보세요" 석산 ↕" 8.3 조치 "↕ 1973년 대한민국 재벌의 탄생… 1973년은 1차 오일 쇼크로 전 세계의 경제성장이 멈췄던 해이다. 승승장구하던 미국, 일본, 북유럽 국가들은 1973년을 기점으로 성장률이 하락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의 재벌기업들은 1973년을 기점으로 계열사가 늘어나기 시작했는데, 그 이유는 1972년 8월 3일 박정희 대통령이 발표한 “사채동결조치” 때문이다. 믿기진 않겠지만 지금 대한민국을 이끄는 대기업 현대와 삼성과 LG 같은 기업도 그 당시엔 모두 사채 빚에 허덕이며 밤마다 부도를 걱정하면서 회사를 운영 해야 했다. 은행이 돈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 당시엔 국민들은 저축을 할 여유가 없으니 은행엔 돈이 없었고, 대부분의 돈은 일제 시절부터 ..

12 道

(하트) 장년 12道 (하트) 第1道- 언도(言道) 나이가 들면 말의 수(數)는 줄이고, 소리는 낮추어야 한다. 第2道- 행도(行道) 나이 들면 행동(行動)을 느리게 하되 행실(行實)은 신중(愼重)해야 한다. 第3道- 금도(禁道) 나이 들면 탐욕(貪慾)을 금(禁)하라. 욕심(慾心)이 크면 사람이 작아 보인다. 第4道- 식도(食道) 나이가 들면 먹는 것이 중요하다. 가려서 잘 먹어야 한다. 第5道- 법도(法道) 삶에 규모(規模)를 갖추는 것이 풍요(豊饒)로운 삶보다 진실(眞實)하다. 第6道- 예도(禮道) 나이든 사람도 젊은이에게 갖추어야 할 예절(禮節)이 있다. 대접(待接)만 받으려 하지 말아야 한다. 第7道- 낙도(樂道) 삶을 즐기는 것은 욕망(慾望)을 채우는 것에 있지 않다. 간결(簡潔)한 삶에 낙(樂..

어울림

** 어울림 ~~~ 천년을 사는 "산속 나무"는 "바람이 부는 쪽"에는 나무 "가지"가 없습니다. 나무는 "바람에 맞서면" "부러 진다는걸" 압니다. "바람부는 데로""가지"를 뻗어야"오래산다는걸""알고" 있습니다."모난돌이 정 맞는다"고"평지에 튀어나온 돌"은 발길로 "걷어 차이게" 되어 있습니다. "인생"은"모난 돌처럼" 살면 "아파서" 주변에 친구가 없습니다."조약돌처럼""서로 부딪혀도""아프지 않게" 살아가 는 "사람"이 되어야 겠지요. 그래서 "함께"라는 "말이" 생겼나 봅니다. "함께라는말은"참"다정"하고"소중한 말" 입니다. 우리는 늘 "누군가"와 "함께하면" 행복해 집니다. "인생을 즐기는" 가장 좋은 방법은입니다. 서로 양보하며"한발자욱씩" 다가서는"조화로움"으로 "함께하는 ..

여인 천하

? 여 인 천 하 ? 티벳 자치구 남동부 먼위(門隅) 지구에 살고 있는 먼빠족(门巴族)은 소수민족 56개중 51위 인데, 인구는 약 9천명 정도 로 아주 작은 민족 이다. 이 먼빠족은 세계의 지붕으로 불리우는 히말라야산 동남1부에 위치해 있는데 원시삼림이 많이 밀집되어 있는 곳이다. 이 먼빠족은 중국에서 유일하게 모계사회(母系社會)를 이루고 일처다부제 (一妻多夫制)로 살고 있는 데 생활풍습도 특이하다. 여자가 성인(15세)이 되면 엄마가 평소 점찍어 놓았던 일 잘하고 튼실한 청년들을 4~5명 데려와 결혼을 시키 는데 결혼후 1년이 지나면 또 4~5명을 더 데려와 신랑으로 삼는다고 한다. 그래서 먼빠족 여인들은 남편이 적게는 7~8명 많게 는 9~10명이 된다고 한다 . 일단 결혼을 하게되면 남편은 다른 ..

거울에 있는 여인

??? '거울'에 관한 재미있는 이야기 옛날 옛날 시골에 사는 한 선비가 한양에 과거를 보러 갔습니다. 과거시험을 치른 후에 한양 장터를 구경하게 됐습니다. 어떤 만물상에 들어가서 이것저것 구경하다가 참 신기한 물건 하나를 발견했습니다. '손거울'이었습니다. 값이 비쌌지만 시골 촌구석에서 고생하는 아내에겐 안성맞춤의 선물이 될 것 같았습니다. 집에 도착하자마자 아내를 찾았으나 김을 매러 갔는지 보이지 않았습니다. 아내가 잘 볼 수 있는 벽에 못을 박고 거울을 걸어 놓았습니다. 아내가 얼른 보고 기뻐하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선비가 외출한 사이에 아내가 집에 돌아와 보니, 짐 보따리는 있는데 남편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사방을 둘러보니 벽에 이상하게 반짝거리는 것이 걸려 있었습니다. 일어나서 들여다보다가 소..

그냥 좋은 사람

? 당신은 그냥 좋은 사람입니다 ? ❣ 그냥 좋은 사람이 가장 좋은 사람입니다 돈이 많아서 좋다거나 노래를 잘해서 좋다거나 집안이 좋아서 좋다거나 그런 이유가 붙지 않는 그냥 좋은 사람이 가장 좋은 사람입니다 ❣ 이유가 붙어 좋아하는 사람은 그 사람에게서 그 이유가 없어지게 되는 날 그 이유가 어떠한 사정으로 인해 사라지게 되는 날 얼마든지 그 사람을 떠날 가망성이 많은 사람입니다 ❣ 좋아하는데 이유가 없는 사람이 가장 좋은 사람입니다 어디가 좋아서 좋아하느냐고 물었을 때 딱히 꼬집어 말 한 마디 할 순 없어도 싫은 느낌은 전혀 없는 사람 느낌이 좋은 사람이 그냥 좋은 사람입니다 ❣ 말 한마디 없는 침묵 속에서도 어색하지 않고 한참을 떠들어도 시끄럽다 느껴지지 않는 그저 같은 공간과 같은 시간 속에 서로..

권력과 권위

권력 vs 권위! 누가 이길까? 이 세 재 “권력(權力)”이란 사전적 의미를 부여한다면, “남을 지배하고 복종시키는 힘. 국가나 행정부가 국민한테 강제적인 행사를 하거나, 행동을 부여하고 박탈하는 힘” 이라고 정의하였다. 폭력은 비합법적이나 권력은 합법적이라는 점에서, 폭력보다 더 강한 무리수를 갖고 있다. 흔히 권력은 마약이자 설탕이라고 말한다. 세상을 물밑에서 움직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힘이 바로 권력이다. 권력은 사람의 사고방식을 말살시키고 있다. 권력자에겐 타협도 없다. 심리학자는 자신의 권력을 지키기 위해 상대편을 증오하는 일에 눈이 멀게 되면, 정상적인 판단을 내리기가 어려워진다고 한다. 따라서 “권력을 잡으면 사람의 뇌가 바뀐다.”는 말은 진실에 가까운 얘기로 들린다. 권력은 권위로부터 배..

인성 ㅡ

옛말에 "정수유심 심수무성(靜水流深 深水無聲)"이란 말이 있어요 이는 '고요한 물은 깊이 흐르고 깊은 물은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뜻이지요 또 물은 만물을 길러주고 키워주지만 자신의 공을 남과 다투려 하지 않아요 그리고 물은 모든 사람들이 가장 싫어하는 낮은 곳으로만 흘러 늘 겸손의 철학을 일깨워 주고 있지요 중국 전국시대의 의학자 "편작(扁鵲)"은 명의(名醫)로 전설적인 인물이지요 "편작불능 육백골(扁鵲不 能肉白骨)"이라 하여 '천하의 명의 편작도 죽은 사람을 살릴수는 없다'는 뜻으로 '충신도 망하는 나라를 유지할수 없다'는 것을 비유한 고사성어로 편작의 유명세를 알수있어요 그런 그에게 중국의 위(魏)나라 왕(王) 문후(文侯)가 전설적인 명의(名醫) 편작(扁鵲)에게 물었어요 “그대 형제들은 모두 의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