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여자라는 이름

염력 [ 念力 ] 사람이 갖는 기운은 크게 생기(生氣)와 오기(敖氣), 살기(殺氣)가 있는데, 누군가에게 한이 깊이 맺히면 살기가 동하여 상대에게 전달됩니다. 특히 한국 여인들의 염력은 거의 선령(仙靈) 급이어서 나이든 여인에게 한을 사면 아무것도 될 일이 없습니다. 이것은 부부나 형제자매 끼리도 마찬가지이죠 남자가 여자에게 이기려고 박박대며 싸우는 걸 보면 불쌍합니다. 지는것이 이기는 것이라는걸 모르면 남자가 아닙니다. 남자는 산이요, 여자는 물이다. 산은 바람과 흙,나무와 짐승, 물을 안고 당당히 앉아있다. 물은 산에서부터 끊임없이 흘러내리며 뭇 생명을 살린다. 흐르는 물은 아무리 높은 산도 막지 못한다. 한국여인은 누구나 신기가 있는데, 나이 40이 되면 무당 수준의 염력을 갖고, 50이 되면 신녀..

숫자에 담긴 삶의 지혜

숫자에 담긴 삶의 지혜 1만 하지 마라. (때때로 자신의 인생을 즐겨라.) 2일 저일 끼어들지 마라. (한번 실패하면 골로 갈 수 있다.) 3삼 오오 놀러 다녀라. (인생은 외로운 존재이니 어울려 다녀라.) 4생 결단하지 마라. (여유를 갖고 살아라.) 5케이(OK)를 많이 하라. (되도록 입은 닫고 지갑은 열어라.) 6체적 스킨십을 즐겨라. (스킨십 없이 홀로 지내면 빨리 죽는다.) 70%에 만족 하라. (올인하지 말고 황혼의 여유를 가져라.) 8팔하게 운동하라. (인생은 짧으니 게으르지 말아라.) 9차한 변명을 삼가라. (변명하면 사람이 몹시 추해 보인다.) 소득의 10%는 친구(동료)들을 위해 투자하라. (노년에 가장 소중한 벗이 있어야 자산 이다) 🌹 친 구 🌹 세상에서.. 가장 행복할때는......

지금이 가장 소중한 시간

🔎지금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는 한 탐험대가 유적을 조사하다가 인적 드문 산속에 위치한 곳에서 토굴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그 토굴에서 탐험대가 발견한 것은 끝도 없이 쌓여있는 황금과 두 사람의 유골이었습니다. 탐험대장은 이 사람들이 황금을 쓰지도 않고 모으기만 하다 죽었는지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서 조사를 했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추론했습니다. 황금을 캐기 위해 온 두 사람은 오래된 토굴에서 금을 발견했고, 한동안 금을 캐며 토굴에서 생활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오로지 금을 모으는 데만 정신이 팔렸고 앞으로 먹을 식량도, 다가오는 겨울도 생각하지 못했던 것입니다. '이 정도면 됐다.' 라고 생각한 때는 이미 겨울의 한복판에 와 있었고, 식량도 모두 떨어진 채 땔감도 ..

현 시국에 올바른 대처

🛑[김형석 객원논설위원·연세대 명예교수.] 자신의 잘못을 모르는 정치 지도자는 국민에게 버림받는다는 것이 역사의 교훈이다. 대한민국도 예외일 수는 없다. 윤석열 정부는 물론이고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에 대해서도 국민은 같은 판단을 해야 한다. 침묵과 무관심은 지성인들의 바른 자세가 아니다. 문재인 정권이 대한민국에 무엇을 남겨 주었는가. 오늘의 민주당은 어떤 일들을 계속하고 있는가. 애국적 판단인지, 정권 쟁취의 수단인지 스스로 묻기 바란다. 윤석열 정부가 실패해야 우리가 정권을 다시 찾을 수 있다는 사고라면 그런 정당은 존재할 필요가 없다. 스스로의 잘못을 반성하고 다시 태어나 대한민국의 장래를 걱정하고 위한다면 국민들은 협력하게 될 것이다. 민주당 안에서 친(親)문 세력이 버림받고, 비(非)문인 이재..

이태원의 슬픈 유래

♡ 슬픈 이태원의 유래 ♡ '이태원'은 한자로 '梨泰院'이라 씁니다. 이태원의 이름은 한자만 3번 변했습니다. 조선 초에는 '오얏나무 李'를 써서 '李泰院' →임진왜란 이후에 '異胎院' →효종 이후에는 '梨泰院'으로 글자와 의미가 변합니다. 원래 이태원은 서울을 벗어나 처음 만나는 원(院)이었습니다. 서쪽의 홍제원. 동쪽의 보제원. 남쪽의 이태원과 인덕원은 서울 부근의 중요한 첫번째 원이었습니다. 이태원은 지금 용산고등학교 자리에 위치하고 있었습니다. 이태원의 역사를 살피다 보면 슬픈 이 땅의 역사가 떠오릅니다. 슬픈 역사하면 역시나 조선 시대의 '양대 칠푼이' 선조와 인조가 등장합니다. 아시다시피 임진왜란 때 고니시 유키나카(소서행장)와 가토 기요마사 (가등청정) 부대는 경쟁적으로 진격하여 가토 기요마..

박정희 전 대통령 이야기

박정희 대통령 신문사에서 유럽의 몇 몇 잘사는 나라들을 취재하러 가서 독일에 들렸을 때 들은 이야기이다. 독일 주재 한국대사관의 주선으로 예정된 취재를 끝내고 짬이 생기기에 프랑크푸르트에서 무역업으로 성공한 대학 후배의 안내로 스위스를 관광하게 되었다. 후배는 아우토반이라는 고속도로를 달리면서 도로의 역사를 설명했다.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시작 됐지만 30년대 초 히틀러가 다시 계속해 만든 세계 최초의 고속도로입니다. 히틀러는 이 도로를 전쟁을 위해 만든 것이지만, 이 도로가 있었기에 세계 2차 대전 후 독일 경제부흥의 초석이 되었던 것이지요.” 그러면서 그는 우리나라 고위직으로는 아마도 고 박정희 대통령이 처음 이 도로를 지나가 봤을 것이라고 했다. 차를 타고 가면서 그가 들려준 박정희 대통령의 ..

정구업 진언

[사람의 品位] (Person's dignity) 수렵시대에는 화가 나면 돌을 던졌고, 고대의 로마시대에는 몹시화가 나면 칼을 들었다. 미국 서부개척시대에는 총을 뽑았으나 현대에는화가 나면 말 폭탄을 던진다. 인격을 모독하는막말을 일삼는 사람이 있다. 그의 생각이 옳다고 하여도 사용하는 언어가 궤도를 일탈했다면 탈선임이 분명하다. 스페인의 격언 중에 "화살은 심장을 관통하고, 매정한 말은 영혼을 관통한다"란 말이 있다. 화살은 몸에 상처를 내지만 험한 말은 영혼에 상처를 남긴다. 불교 천수경 첫머리에는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 이 나온다. 입으로 지은 업을 씻어내는 주문이다. 그 중 4가지는 거짓말로 지은 죄업, 꾸민 말로 지은 죄업, 이간질로 지은 죄업, 악한 말로 지은 죄업을 참회한다는 내용이다. ..

삶의 길목에서

(방긋)°👫°☕;🍒 🌿 좋은 다섯글의 의미를 새겨 봅시다 ● 이야기 하나 한 소년이 있었습니다. 화창한 날에 기분 좋게 언덕을 올라가던 소년은 길에 튀어나와 있던 돌에 걸려 넘어지고 말았습니다. 이런 돌덩이가 왜 사람들 다니는 길에 있지? 소년은 삽으로 돌부리를 캐내기 시작했습니다. 파헤치자 점점 돌의 크기가 드러났습니다. 땅 위에 보이는 돌은 사실 큰 바위의 일부였던 것입니다. 소년은 놀랐지만 결심했습니다. "다시는 다른 사람들이 돌부리에 걸리지 않도록 파내겠어!" 소년은 분한 마음 반, 정의감 반으로 거대한 돌에 달려 들었습니다. 해가 뉘엿뉘엿 지기 시작했습니다. 소년은 삽을 놓았습니다. 안 되겠다, 포기하자. 소년은 파놓았던 흙으로 돌이 있던 자리를 덮기 시작했습니다. 그러자 소년이 걸려 넘어졌던 ..

시사만평

♦️[오늘의 유머] - 한국의 종북좌파 기자가 보통인간이 될 확률이 3억 분에 1이라고 하네요. ㅎ~ 한 외교관이 한국 언론의 왜곡 행태를 빗대어 문자 메시지로 보낸 유머랍니다. 1. 예수가 "죄 없는 자, 저 여인에게 돌을 던져라" 라고 발언한 것을 한국 언론의 기사는 라고 보도했다. 2. 예수가 위선적인 바리새인들에게 분개 하여 "독사의 자식들아" 라고 꾸짖은 데 대한 한국언론의 보도는 라고 보도한다 3. 예수와 석가가 구도의 길을 떠나자. 한국 언론은 라고 보도하였다. 4. 석가의 "천상천하 유아독존"에 대해 한국 언론에서는 라고 보도했다 5. 소크라테스가 "악법도 법이다." 라고 했을 때 한국 언론은 이라고 보도했다 6. 시저가 "주사위는 던져젔다." 라고 하자 한국 언론은 라고 보도했다 7. 이..

볼거리 들을거리 백화점

안방에서 구경하시게 된것을 축하합니다!. 1. "https://www.youtube.com/embed/zvL4Tx1bspE?feat ure=player_embedded" 2. "https://www.youtube.com/embed/c_TPx45Da2I?feature=player_embedded" 3. "https://www.youtube.com/embed/KclJg0Hby_M?feature=player_embedded" 4. "https://www.youtube.com/embed/xkYlU8xBJ5c?feature=player_embedded" - 신나는 트롯트 100곡을 선사합니다. https://youtu.be/pYNb307cy3Q ♡ 흘러간 영화 201편 https://m.blog.naver.com..

펌/안방극장 2022.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