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솔길]위하여 | |
석도익 소설가·홍천문인협회장 | |
| |
사랑하지 않고는 못 배기는 것이 사람이다. 사람을 사랑하지 못하고 사람들에게 사랑받지 못하는 사람은 애완동물이나 화초식물 등 다양한 것에 애정을 쏟고 대리만족을 느끼며 살아가야 하는 것이 사람이다. 피도 눈물도 없을 것 같은 조직폭력배 두목이 고양이를 옆에 두고 어루만지는 장면이나 난을 키우는 장면을 넣은 영화나 드라마를 볼 수 있는데 이를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사랑이란 아무런 조건도 없고 보답 또한 바라지 않고 무조건 주는 것이 사랑이라고 말들은 하고 있지만 정말 그럴까? 그렇게 죽도록 사랑하던 사람과도 헤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유는 내가 그에게 준 사랑만치 그는 내게 조금밖에 안주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헤어진 사이에는 원한만 서려있다. 집 식구같이 키우는 애완견이 그만보면 반가워서 어쩔 줄 모르고 꼬리를 흔들고 매달리며 애정공세를 퍼붓는데 어찌 사랑을 하지 않으랴? 반대로 으르렁대고 짖기만 하고 가까이 가면 물려고 한다면 그를 한방에서 데리고 자며 살겠는가? 난을 키우면 꽃이 피고 향기를 주어야 하는데 꽃도 피워주지 못하는 난이라면 오래 정성들이며 예뻐하겠는가? 사람은 자기 자신을 사랑할 수가 없다. 내가 나를 위하여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 있겠는가? 내가 나를 위하여 할 수 있는 일이란 먹고 자고 배설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 특히 일이 분업화된 산업사회에서는 더욱 그럴 수밖에 없다. 내가 해야 하는 모든 일, 내가 어려서부터 배워온 공부, 내가 하고 있는 연구, 이 모든 것들은 내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재화를 얻기 위하여 해야 하는 일들이겠지만 궁극적으로는 모두 남을 위해서 하는 일들인 것이다. 나를 위해서 하는 일이라면 대충해도 되지만 남을 위해서 하는 일이기 때문에 더욱 잘 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나를 사랑할 수 없기에 남을 사랑한다. 내가 그를 사랑한 것처럼 그에게서 되돌려 받기 위하여 일을 하고 사랑도 한다. 내가 해야 할일을 다하고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다면 나는 아름다운 삶을 사는 것이다. 어차피 나를 위해서 할 일이 많이 없는 세상이라면 확실하게 남을 위해서 살아가는 것 또한 크게 행복한 인생일 것이다. |
'석도익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가위 진풍경 (0) | 2013.09.20 |
---|---|
무궁화축제와 한서문화제에 관하여 (0) | 2013.09.01 |
아름다운 세상 (0) | 2013.07.29 |
뱁새와 황새 (0) | 2013.07.21 |
사람은 언제 철드는 걸까? (0) | 2013.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