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에서 어버이를 지칭할 때
父親, 母親이라 합니다.
여기의 親(어버이 친)자는 어버이의 마음이 담긴 뜻글자입니다.
시골에서는 닷새 마다 장이 섭니다.
장이 서면
아들은 그 동안 모은 나뭇짐을 지게에 지고 장터로 팔러 갑니다.
집에 있는 어머니는 뜰 안의 여러 농사일들과 집안일들을 하십니다.
그러나 모든 생각은 시장에 간 아들에게 있습니다.
오늘 갖고 간 물건은 팔았는지,
올해를 넘기지 말고 장가를 보내야 할텐데 등등....
마침내 저녁이 되어 해가 뉘엿뉘엿 넘어가는데도 아들은 아직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어머니는 저녁을 다 지어놓고 기다리다 못해 동구 밖까지 나가봅니다.
언덕에 올라가 보니 장터에 갔던 사람들이 하나 둘씩 돌아오고 있었습니다.
아들은 보일 듯
말 듯합니다.
마침 언덕에 소나무 한 그루가 있습니다.
그 나무에 올라가서 멀리 장터를 향해 봅니다.
이 애틋한 마음을 한자에서는
'어버이 친'(親) 이라고 합니다.
어버이 친자는
나무 위에 올라서서 보고 있는 모습을 말합니다.
여기에 버금가는 한자가
효도 효(孝)'입니다.
아들은 갖고 간 것을 늦게까지 다 팔고 고등어 몇 마리와 어머니께 드릴
몇 가지 물건을 사들고 오는데
동구 밖의 어머니를 만납니다.
“어머니,
다리가 아프실 텐데 어떻게 여기까지 오셨습니까?
제가 업어 드리겠습니다.
저의 지게 위에 타십시오.”
그래서 지게 위에 태워오는 모습이 한자의 효도할 때의 효(孝)자입니다.
즉 노인을 업고 오는 아들의 모습입니다.
이러한 한자의 모습,
親 자와 孝 자가 가정에 존재할 때
그 가정은 복을 받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사랑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즐거운 나의 집 (0) | 2024.05.22 |
---|---|
꼬리가 개를 흔든다. (1) | 2024.05.18 |
맹사성의 일화 (0) | 2024.05.12 |
어머니는 말 안해도 안다. (0) | 2024.05.12 |
가황 나훈아 (0) | 2024.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