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건강 종합정보

돌 박사 2021. 1. 14. 11:36

#종합정보비타민

#건강정보

♥우리나라 분야별 최고 명의 총정리♥

분야별 우리나라 최고의 명의들 총 정리 저장해 두셨다가 위급 시 참고하세요.

1. 암치료

폐암 : 심영목 (삼성서울병원)
폐암 : 조재일 (삼성서울병원)
폐암 : 이진수 (국립암센터)

위암 : 양두현 (전북대학교병원)
위암 : 노성훈 (연세암병원)
위암 : 유완식 (칠곡경북대병원)
위암 : 권성준 (한양대학교병원)

유방암 : 노우철 (원자력병원)
유방암 : 노동영 (서울대학교병원)
유방암 : 양정현 (건국대학교병원)

부인암 : 박종섭 (서울성모병원)
자궁암 : 이호표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대장암 : 김남규 (세브란스병원 외과)
혈액암 : 이규형 (서울아산병원)

피부암 : 정기양 (세브란스병원)
췌장암 : 이우정 (세브란스병원)
소아암 : 구홍회 (삼성서울병원)
배뇨, 신장암 : 이규성 (삼성서울병원)
전립선암 : 천준 (고려대 안암병원)

두경부암 : 김민식 (서울성모병원)
구강암 : 이종호 (서울대 치과병원)
갑상선암 : 장항석 (세브란스병원)
갑상선암 : 박정수 (세브란스병원)

간암 : 한광협 (세브란스병원)
간암 : 이건욱 (명지병원)
후두암 : 노영수 (이화여대부속목동병원)
후두암 : 최홍식 (세브란스병원)

뇌종양 : 정희원 (서울대병원)
척수종양 : 김현집 (분당서울대병원)

2.관절재활

척추질환 : 이춘기 (서울대병원)
척추질환 : 이춘성 (서울아산병원)

류마티스관절염 : 고은미 (서울삼성병원)
관절염 : 김호연 (건국대학교병원)

재활의학 : 박창일 (건양대학교병원)
무릎관절 : 배대경 (경희대병원)

3.노년기질환

호스피스 : 윤영호 (서울대병원)
파킨슨병 : 전범석 (서울대병원)

치매 : 나덕렬 (삼성서울병원)
백내장 : 곽형우 (경희대학교병원)

골다공증 : 강무일
(카톨릭중앙의료원)

4.여성질환

산부인과 : 전종관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 김전구 (서울대병원)
난임 : 이원돈 (마리아병원)

5.성인병

고도비만 : 허윤석 (인하대병원)
당뇨 : 최수봉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당뇨 : 이홍규 (을지병원)
당뇨 : 손호영 (강동성심병원)

내장비만 : 강재헌 (인제대부속 서울백병원)
간질환 : 유병철 (건국대학교병원)

6.피부과

탈모 : 윤태영 (충북대병원)
탈모 : 김범준 (중앙대병원)

탈모, 모발이식 : 노윤우 (맥스웰피부과)
탈모, 모발이식 : 심우영 (강동경희대병원)

아토피 : 이광훈 (세브란스병원)
소아아토피 : 편복양 (순천향병원)

7.치과구강

틀니 : 우이형 (경희대 치과병원)
턱질환 : 김성택 (연세대 치과대학병원)
임플란트 : 이백수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8.소화기

치질 : 신응진 (부천 순천향병원)
치질 : 이두한 (대항병원)

담석, 췌장 : 김명환 (서울아산병원)
대장항문외과 : 김선한 (고려대 안암병원)
췌장질환 : 김선회 (서울대병원)

9.혈관신경외과질환

심장혈관외과 : 장병철 (세브란스병원)
심장혈관외과 : 이영탁 (삼성서울병원)

고혈압 : 박창규 (고대구로병원)
고혈압, 협심증 : 황흥곤 (건국대학교병원)

뇌졸증 : 신용삼 (서울성모병원)
뇌혈관 : 오창완 (분당서울대병원)

10.장기이식

심장이식 : 박표원 (삼성서울병원)
신장이식 : 김유선 (신촌세브란스병원)
신장이식 : 한덕종 (서울아산병원)

간이식 : 서경석 (서울대병원)
간이식 : 이승규 (서울아산병원)

11.마취통증

마취통증의학과 : 문동언 (문동언마취통증의학과의원)
마취통증의학과 : 김찬 (김찬병원)

대상포진, 통증 : 김도완 (아주대학교병원)
만성통증 : 안강 (안강병원)

12.호흡기질환

호흡기질환 : 심재정 (고대구로병원 호흡기내과)
이비인후과 : 조중생 (경희대학교)

천식 : 박해심 (아주대학병원)
수면장애 코골이 : 신원철 (강동경희대병원)
결핵 : 권오정 (삼성서울병원)

13.안과

안과질환 : 김재찬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성형안과 : 김윤덕 (삼성서울병원)

망막수술 : 윤영희 (서울아산병원)
망막질환 : 정흠 (서울대병원)
백내장 : 이진학 (분당서울대병원)

14.정신과불안

우울증 : 이민수 (고려대 안암병원)
건망증, 치매 : 한설희 (건국대 병원)
수면, 스트레스 : 정도언 (서울대병원)

15.비뇨기과

성기능 : 박광성 (전남대병원)
전립선 비뇨기질환 : 백재승 (서울대병원)
전립선 : 김세철 (명지병원)

16.외상

중증외상 : 이국종 (아주대병원)
재건성형 : 민경원 (서울대병원)

17.소아질환

소아성형외과 : 김석화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심장 : 성시찬 (양산부산대병원)
소아심장 : 이형두 (부산대어린이병원)

소아외과 : 이석구 (삼성서울병원)
소아정신 : 조수철 (서울재병원)
소아혈액종양 : 구홍회 (삼성서울병원)
미숙아 : 박원순 (삼성서울병원)

♡알기쉽게 정리된 의학정보♡

1. 감기는 추워서 걸린다?... 아니다.
바이러스때문이다.

손을 씻는 것이 최고의 비법이다.
남극이나 북극, 영하의 나라에는 감기가 없다.
바이러스가 살지 못하기에...

2. 술잔을 돌리면 간염에 걸린다?... 아니다.

간염은 피로 전념이 된다.
즉 주사바늘, 침 등은 소독된 것이나 일회용을 사용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3. 몸의 혹은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아니다.

제거 할 것이 있고,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있다.​

4. 관절이 나쁘면 운동을 하지 않아야 한다?... 아니다.

더 해야 관절을 감싸고 있는 인대를 강화시킬수있다.

수영, 자전거를 타면 관절에 좋다.
운동은 보약보다 더 좋은 것이다.

5. 허리가 아플 때 복대를 하면 좋다?... 아니다.

복대는 친구로 만났다가 원수로 헤어진다.

6. 우유는 몸에 좋지 않다?... 아니다.

단백질과 칼슘을 보충하려면 꼭 마셔야 한다.

7. 한국인은 1년에 24만 명이 사망한다.

사망 順位는?

1위 - 암 (6만명),

2위 - 뇌졸중(뇌출혈+뇌경색) (4만명)

3위 - 심장병 (2만 명)

4위 - 자살

5위 - 당뇨

6위 - 교통사고

8. 12만 명이 암과 심혈관 질환으로 죽어간다.

가. 암 6만명

나. 심혈관 질환 6만명 = 뇌졸중 (중풍)(뇌출혈+뇌경색)4만명 + 심장병 2만명.

뇌졸중에는 뇌의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 뇌의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 두 가지가 있다.

9. 심혈관의 질환은?

가. 잔인하고 고통스러운 병이다.

나. 반신불수, 사지마비, 식물인간, 뇌사, 대소변 받아내기 등 결과가 처참하다.

다. 질환의 뿌리는 수십 년 전부터 시작 된다.

기름기와 인스턴트식품과다, 과음, 흡연, 운동부족으로 시작된다.

10. 혈압, 혈관, 인슐린, 혈당의 상관 관계

혈압이 높으면 혈관이 잘 터지는 뇌출혈과, 잘 막히는 뇌경색이 유발된다.
고혈압 보다 저혈압이 5년 더 오래 산다.

혈관은 피가 지나가는 고속도로이며,
인슐린은 톨게이트이다.
운동부족으로 인슐린이 떨어지면 톨게이트가 막힌다.

혈관에 당분이 쌓이면 혈관에 염증이 생겨 당뇨합병증이 온다.

혈압은 혈관을 물리적으로
손상시키고, 혈당은 혈관을
화학적으로 부식시킨다.

☞ 혈압은 140 미만 / 90 미만이 정상이다.

☞ 공복 시 혈당은 126미만이면 정상 이지만 100보다 낮게 관리하자.

11.맥박은?
맥박은 1분당 느릴수록 좋다.

198년 장수하는 거북이는 1분에 2회의 맥박이다.

1년을 사는 쥐는 맥박이 1분당 400~500회이다.

사람은 100보다 미만이 좋다. 70 미만이면 더 좋다.

12. HDL코레스톨

*역할 : 혈관 속의 기름덩어리를 간으로 끌고 가서 분해시키는 청소부이다.

*희망사항 : 높을수록 좋다.
40이상이면 정상, 이상기준 60이상이다.

13. 뇌혈관지표

가. 정상혈압 140미만 / 90미만
--- 이상혈압 120미만 / 80미만

나. 정상혈당 126미만 ---이상혈당 100미만

다. 정상맥박 100미만 ---이상맥박 70미만

라. 정상HDL코레스테롤 40이상 ---이상HDL 60이상

14. 뇌혈관 지표를 정상으로 돌리는 방법.

먹는 식습관 보다 운동습관이 더 중요하다.
운동은 혈관을 깨끗하게 한다.

허리둘레는 가늘수록, 허벅지둘레는 굵을수록 좋다.
운동은 하루에 숨이 헐떡거릴 정도로 30분 이상을 하라(유산소운동).

다이어트의 완성은 많이 움직이는 것이지 적게 먹는 것이 아니다.
다리근육이 증가되면 혈관이 맑아지고 깨끗해진다.

15. 암에 관한 정보

가. 암에 걸릴 확률은 50%이다.
둘 중 한사람은 암에 걸린다.

나. 암은 난치병이지만 불치병은 아니다. 조기에 발견만하면 된다.

암은 3cm까지는 전혀 증세가 없고,
그 이상이면 증세가 나타나고 잔류 암세포들이 복강에 퍼져있다.

다. 위암은 내시경 검사를 매년하자.

16. 인터넷은 의료건강에 근거없는 정보가 아주 많다.

의사는 나무보다 숲을 본다(현재의 증상보다 미래까지를 본다).

17. 스티븐 코비의 말

“인생에서 성공하려면 당장 시급하지 않치만 중요한 일에 몰두하자.”
즉, 보다 중요한 것은 미래를 위한 건강이다.

♡'명의'들의 건강지혜 15가지♡

1, 산다상비(酸多傷脾)

신 것을 많이 먹으면 비장을 상한다.
신맛은 木이고 비장은 土이므로 木剋土하기 때문이다.

2, 신다상간(辛多傷肝)

매운 것을 많이 먹으면 간을 상한다.
매운 것은 金이므로 木인 간을 金剋木하기 때문이다.

3, 함다상심(鹹多傷心)

짠 것을 많이 먹으면 심기(心氣)를 상한다.
짠맛은 水이고 심장은 火이므로 水剋火하기 때문이다.

4,고다상폐(苦多傷肺)

쓴 것을 많이 먹으면 폐를 상한다.
쓴맛은 火이고 폐는 金이므로 火剋金하기 때문이다.

5, 감다상신(甘多傷腎)

단 것을 많이 먹으면 콩팥을 상한다.
단 것은 土이고 콩팥은 水이므로 土剋水하기 때문이다.

6, 구좌상비손육(久坐傷脾損肉)

오래 앉아 있으면 비장이 상하고 속살이 손실된다.

7, 구시상심손혈(久視傷心損血)

오래 보면 심기가 상하고 피가 손상된다.

8, 구와상폐손기(久臥傷肺損氣)

오래 누워 있으면 폐가 상하고 기(氣)가 손상된다.

9, 구행상간손근(久行傷肝損筋)

오래 걸으면 간이 상하고 근육이 손상한다.

10, 구입상신손골(久立傷腎損骨)

오래 서 있으면 콩팥이 상하고 뼈가 손상된다.

11, 노다상간경근(怒多傷肝梗筋)

화를 많이 내면 간이 상하고 근육이 뻣뻣해진다.

12, 희다상심산혈(喜多傷心散血)

기쁨이 지나치면 심기가 상하고 근육이 뻣뻣해진다.

13, 사다상비삽육(思多傷脾澁肉)

생각이 많으면 비장이 상하고 살갖이 까실까실해진다.

14, 우다상폐허기(憂多傷肺虛氣)

걱정이 많으면 폐가 상하고 기가 허해진다.

15, 공다상신패정(恐多傷腎敗精)

두려움이 많으면 신장을 상하고 정력이 이그러진다.

♡건강을 유지하는 5대 요소♡

1, 균형있는 영양식
2, 적당한 운동
3, 충분한 휴식: 스트레스 해소
4, 유쾌한 마음: 유머감각
5, 사랑 주고 받는 마음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방 야화  (0) 2021.02.06
응급처치  (0) 2021.02.05
커피와 게피가 암을 물리친다  (0) 2020.12.13
소금이 불로초다  (0) 2020.12.12
머리 두두리기  (0) 2020.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