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한국의 역사
한국의 역사
조선왕조 순서와 계보 정리
한국사의 마지막 왕조국가 조선은 태조 이성계가 무력을 통해서 고려를 멸망시키고 건국했기 때문에 이름은 조선이지만 고려를 그대로 계승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는 정권을 잡은 세력이 통치하기는 했지만 유교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라는 민본주의를 중요시 생각했기 때문에 근세 사회를 열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1대 태조
1392-1398
조선의 초대 국왕으로 한국사 마지막으로 요동(만주) 땅을 정벌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동아시아의 모든 세력과 싸워서 이겼기 때문에 왕이 되지 않았어도 명장으로 평가받았을 인물이지만 전대 왕족을 몰살한 기록 때문에 학살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2대 정종
1398-1400
태조의 둘째 아들로 효심이 깊었다고 전해지며 이방원이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키며 권력을 장악하자 반강제적으로 세자의 자리에 올랐지만 정치에 큰 관여를 하지 않았는데 당시 왕권이 확립되지 않고 골육상쟁의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2년 남짓 재위하고 내려오게 된다.
3대 태종
1400-1418
1대 왕이었던 태조의 다섯 번째 아들로 이방원은 왕의 자리에 오르기 위해서 형제를 죽이는 무자비함을 보여줬는데 자신이 사병을 이용해서 왕이 되었기 때문에 왕권 강화를 위해 사병을 없애서 국가 소속의 군대로 만드는 등 정치적인 능력이 뛰어났다.
4대 세종
1418-1450
태종 이방원과 원경왕후 민씨의 세 번째 아들로 전의 왕들이 고려 왕조에서 신하로 일하다가 왕위에 올랐다면 세종은 조선시대에 태어나서 왕위에 오른 첫 임금으로 많은 업적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백성들을 가르치기 위해 훈민정음을 창제한 것이 가장 유명하다.
5대 문종
1450-1452
정실부인 소헌 황후가 낳은 세종의 맏아들로 농업, 과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특히 무기를 제작하는데 많은 관심을 보였는데 현재 몽골의 대대적인 침략을 우려했기 때문에 세종이 개량한 화차(신기전)을 최초로 만들어서 병사들에게 사용법과 전술을 알려주기도 했다.
6대 단종
1452-1455
문종의 장남으로 어릴 때 이복형제들이 죽어서 사실상 외아들로 성장을 했는데 가장 정통성을 갖춘 국왕으로 세종이 칭찬할 정도로 총명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아버지의 죽음으로 11살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르면서 정치적으로 이용만 당하다가 17살에 사약을 받게 된다.
7대 세조
1455-1468
수양대군으로 친숙한 세종의 둘째 아들로 왕위를 찬탈하기 위해 계유정난을 일으켜서 문종의 고명대신 김종서와 황보인을 살해하고 조카인 단종을 쫓아내서 스스로 왕의 자리에 올랐으며 정치적 능력은 나쁘지 않았지만 백성들과 동복동생을 죽일 정도로 패륜과 학살을 자행했다.
8대 예종
1468-1469
맏형인 의경세자가 19세의 나이로 사망하면서 8살의 나이로 세자로 책봉이 되었으며 남이의 옥 사건을 일으킨 다음 15개월 만에 병에 걸려 급사하게 된다. 조선 최고의 법전 <경국대전>은 예종 때 완성했지만 반포하기 전에 죽었기 때문에 조카 성종이 업적을 이어받는다.
9대 성종
1469-1494
7대 세조의 손자로 예종 때 완성된 경국대전을 반포하고 북방에 있는 여진족을 소탕하면서 남방의 일본과 무역으로 국력을 강화시켰다고 평가받지만 자신의 아내 폐비 윤 씨에게 사약을 내리고 38세의 나이에 요절하면서 그의 아들인 연산군이 왕위에 오른다.
10대 연산군
1494-1506
성종과 폐비 윤 씨의 맏아들로 백성들에게 높은 세금을 매겨서 산과 나물로 연명하게 만들었는데 나중에는 전국에 있는 산나물을 자신에게 바치게 만들어서 많은 사람을 죽음으로 내몰았다. 패륜, 돈 낭비 여색으로 흥청망청의 어원을 만든 그는 반정으로 몰락하게 된다.
11대 중종
1506-1544
제9대 성종의 둘째 아들, 연산군에게는 이복동생으로 조선 역사상 최초로 반정에 의해서 국왕으로 옹립되었기 때문에 왕권이 강하지 않아서 나약하고 우유부단한 모습을 보였지만 연산군보다 훨씬 많은 사람을 죽였으며 백성들에게는 인자한 왕의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12대 인종
1544-1545
중종과 장경왕후 윤 씨의 맏아들로 3살에 책을 읽을 정도로 총명하고 성품이 온화해서 공자의 버금가는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어머니 장경왕후가 산후병으로 죽으면서 주변의 견제를 받고 왕세자에 즉위한지 9개월 만에 별다른 업적을 이루지 못하고 죽고 만다.
13대 명종
1545-1567
11대 중종의 둘째 아들로 생모인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으로 대리 숙청을 하면서 발생한 을사사화, 양재역 벽서 사건이 유명하며 22년 동안 왕위에 있었지만 별다른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했고 심지어 조선의 역대 임금과 왕비의 제사를 모시는 종묘정전에도 모셔지지 못했다.
14대 선조
1567-1608
덕흥군 이초의 아들 명종의 양자로 조선 왕중에서는 최초로 직계 출신이 아니었지만 이순신과 권율을 등용할 정도로 능력이 뒤어났는데 왕의 자리에 어울리지 않는 소인배 같은 기질이 강해서 나중에는 이순신을 경계하고 처벌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대중의 인식은 나쁜 편이다.
15대 광해군
1608-1623
광해군을 연산군과 비슷한 폭군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은데 수탈을 부추기는 행위로 인조반정을 통해서 폐위됐기 때문이다. 다만 임진왜란 당시 도성을 버린 부왕과는 다르게 일본군과 맞서 싸우고 혼란스러운 국가를 유지하려고 노력했기 때문에 재평가하는 사람들이 많다.
16대 인조
1623-1649
원래 왕위와는 거리가 멀었지만 인조반정이라는 쿠데타를 통해서 왕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으며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 혼란스러운 일을 많이 겪었는데 청나라의 왕에게 머리를 조아리며 삼궤구고두례(삼배구고두례)의 굴욕을 당하고 삼전도비가 세워진다.
17대 효종
1649-1659
인조와 인열 황후 한 씨의 차남으로 북벌을 하기 위한 준비를 하면서 군사력을 확장하고 전란 이후 백성들의 생활을 위해서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얼굴에 생긴 종기를 치료하기 위해 어의 신가귀가 침을 놓다가 수전증으로 잘못 찔러서 피가 멈추지 않아 승하하였다.
18대 현종
1659-1674
효종이 봉림대군 시절 심양(중국 선양시)에 인질로 가있을 때 태어났기 때문에 조선 왕중에서는 유일하게 외국에서 태어났으며 자신의 아버지와 아들에 비해서 존재감이 떨어지는 모습으로 현종이 즉위하면서 벌어진 예송논쟁으로 인해서 무능력한 왕으로 평가하는 사람이 많다.
19대 숙종
1674-1720
몸이 약하고 어린 나이에 즉위했기 때문에 소심한 성격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지만 다혈질에 대규모 숙청을 통한 환국 정치를 진행했던 군주로 쌀로 세금을 내는 대동법과 최초의 화폐 상평통보를 만들었지만 두 번재 왕비 인현왕후 민씨와 3번째 왕비 장희빈이 더 유명하다.
20대 경종
1720-1724
숙종과 희빈 장 씨의 아들로 슬하에 자식을 두지 못했기 때문에 영조를 왕세자로 지명하며 불임설이 존재하는 왕으로 어머니가 당쟁에 휘말려 사약을 먹고 죽는 모습을 보고 노론 신하들이 피바람이 불까 봐 매번 난리를 치는 통에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었다는 기록이 존재한다.
21대 영조
1724-1776
숙종과 숙빈 최 씨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붕당 간의 다툼이 심해지자 탕평책을 실시하고 백성들의 세금을 감면해주는 균역법을 시행한다. 조선 왕들의 평균 수명이 43세였으나 83세까지 살았으며 아들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서 죽게 만든 임오화변 사건으로 유명하다.
22대 정조
1776-1800
배우는 것을 좋아했던 왕으로 정치적 친위 세력을 양성하기 위해 규장각을 설립하고 신하들을 발굴하는 초계문신제를 시행하면서 의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준론 탕평책을 펼치게 된다. 그는 자신의 친위부대 장용영을 운영하며 아버지의 묘를 이장하면서 수원 화성을 건설한다.
23대 순조
1800-1834
정조의 차남 어머니는 현목 유빈 박 씨로 정조가 갑자기 승하했기 때문에 역사상 2번째로 어린 11살의 나이로 즉위하게 되는데 정순왕후 김 씨가 수렴청정을 하면서 많은 문제가 생긴다. 백성들의 봉기로 인해서 발생한 홍경래의 난으로 무기력한 임금으로 평가받고 있다.
24대 헌종
1834-1849
아버지 효명 세자가 요절한데 이어서 할아버지 순조도 일찍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8살의 나이에 왕이 되었으며 이에 할머니 순원왕후 김 씨가 수렴청정을 실시하며 안동 김씨를 비롯해서 임금과 성이 다른 일가와 신하를 척결하려고 했지만 22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게 되었다.
25대 철종
1849-1863
강화도에 유배되어 빈농으로 보내다가 왕조의 직계 혈통이 단절되었기 때문에 19세의 나이로 즉위했는데 민생을 위한 여러 가지 개혁을 추진하려고 했지만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주변의 반발에 별다른 업적을 세우지 못했으며 후계자를 지목하지 못하고 숨을 거둔다.
26대 고종
1863-1907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로 12세에 대한 제국의 초대 황제로 즉위하는데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임오군란, 동학농민운동을 막기 위해 청군과 일본군에 파병을 요청하며 조선을 파멸의 길로 이끌게 된다. 그가 59세일 때 얻은 늦둥이가 바로 덕혜옹주다.
27대 순종
1907-1910
고종과 명성황후의 둘째 아들로 유일하게 요절하지 않고 성장해서 조선의 마지막 국왕이 되었으나 건강이 좋지 않았는데 김홍륙 독차 사건으로 아편을 넣은 커피를 다량 복용해서 건강이 더욱 나빠지고 치아가 빠져서 틀니를 껴야 했다고 한다.
1897년 10월 12일에는 대한 제국의 수립으로 황태자로 지위가 올랐으나 모든 실권은 이완용과 송병준이 가지고 있었고 그들의 주도하에 조선의 국권은 일본에 넘어가게 되었다.
순종은 마지막 황제였지만 돌파구를 찾으려고 노력하지 않고 친일파와 일본에 휘둘리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왕이라는 칭호를 받고 일본에서 주는 돈을 받으며 살아갔다.
사실 권력이 없는 허수아비에 불가했으며 아버지와 어머니가 일본에 저항했지만 모두 실패하는 모습을 보았기 때문에 병약한 그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었을 거라 생각한다.
당시 권력을 잡고 있던 세력이나 상황에 따라서 왕의 평가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역대 왕들에 대한 기록은 100% 믿을 수 있는 자료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뒤로 갈수록 왕의 힘이 약해지고 권위를 잃어버리는 부분은 아쉽지만 민주주의를 통해서 국민이 권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발전한 모습을 보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